1

개혁파 역사신학?: 다양성과 공교회성

개혁 신학을 추구하는 이들에게 교회사를 공부하거나 역사신학을 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우리가 존경하는 위대한 어떤 신학자들의 사상을 탐구하고, 그것이 옳으니 우리도 그것을 따라야 한다고 이야기하는 것일까요? 물론 이렇게 하는 것도 중요하고 유익도 있겠지만 그것으로 그친다면 우리 시대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통찰을 얻는 것에 있어서 한계에 부딪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이런 부분에 있어서 비판하는 목소리를 듣게 되기도 합니다.

역사 속에서 기독교의 교리들 그리고 주요한 사상들을 어떻게 논의했고 구체화하고 선언했는지 살펴보면 살펴보면 그 안에 풍부한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리스도께서 교회에 주신 ‘열쇠의 권세’ (교회의 사역과 관련된 중요한 권세들)가 누구에게 일차적으로 주어졌는지에 대해서 17세기 청교도들 사이에서도, 심지어 그 중에서 장로교파 사람들 사이에서도 이런 다양성은 나타납니다. 중세 신학도 마찬가지입니다. 종교개혁 시대에 루터가 이신칭의 교리를 주장하기 전에도 구원론에 있어서 은혜에 대한 강조와 인간의 순종의 역할에 대해서 하나로 통일된 견해를 가졌다고 봐서는 곤란합니다. 최소 3가지 이상의 입장을 중세 말기에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죠. 게다가 유명론과 실재론에 대한 부분도 마찬가지입니다. 예전에는 전자는 교황의 권위에 대항하는 방식으로 후자는 교황의 권위를 세우는 쪽으로 사용되었다고 보았습니다. 그런 경향이 나타나는 것이 사실이지만, 15세기 바젤 공의회 즈음을 살펴보면 역으로 유명론이 교황의 권위를 세우는 쪽으로 실재론이 교황권을 비판하는 쪽으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우리가 교회 역사 속에서 이런 다양성을 인식하지 못한다면 나에게 동의하지 않는 이들을 쉽게 비판하게 될 수 있습니다. 개혁파의 주장은 ‘이것’이 유일하고, 상대는 다 틀렸다는 식으로 말이죠.

하지만 반대로 다양성만 강조한다면 우리가 사도신경에서 강조하는 보편교회가 붙드는 공교회적 신앙고백들의 중요성을 놓치고 상대주의적으로 ‘좋은게 좋은거다’라고 생각버릴수도 있습니다. 그 다양성 속에서 교회의 가르침들의 연속성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그 모습이 때마다 조금 다른 모습으로 드러날 수는 있겠지만요. 그래서 역사 속에서 신학을 연구하면서 그 공교회적 고백과 가르침들을 발견해나가고 그것이 각 시대의 상황과 배경 속에서 어떻게 뿌리내리고 꽃을 피워 열매를 맺었는지, 그 과정과 열매는 어떠했는지를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야 우리 시대에 우리가 같은 고백 속에서 어떻게 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더 깊은 성찰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6-7세기에 많은 개혁파 신학자들은 그들의 신앙고백들, 그들이 강조하는 교리들이 공교회적 가르침이라고 확신했습니다. 그들의 책 속에서 초대교회에서 중세시대, 그리고 그들이 살던 동시대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신학자들의 주장이 인용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이런 공교회성에 대한 강조는 종교개혁을 이루고 한 세기가 지난 이후에도 국가교회에서 ‘분리되어 나오려는 이들’은 큰 비난을 받았다는 점에서도 확인될 수 있습니다. 아무튼 이들이 교회 역사를 보며 다양성을 인식했으며, 그 속에서 공교회성을 찾으려했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그들의 큰 특징이 있다면 그 공교회성이 무엇보다 성경의 권위를 토대로 뿌리내리도록 하려고 했다는 점이겠죠. 이러한 작업은 19-20세기를 살아온 헤르만 바빙크 같은 이에게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개혁파 신학을 토대로 교회사를 공부하거나 역사신학을 한다는 것은 종교개혁 시기의 고백을 그대로 동일하게 되풀이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그들처럼 다양성을 인식하고, 공교회성을 추적하고, 말씀 위에 공교회성이 세워지는지 성찰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것이 오히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더 중요한 통찰을 주지 않을까요.

Over de auteur

재국

스코틀랜드 에딘버러 대학에서 17세기 신학자 사무엘 러더포드의 교회론을 연구했다. 기독교 역사 속에서 일어난 신학적 논의들, 특히 교회론에 대한 논의에 관심이 많다. 『신앙탐구노트 누리』의 저자이며 초보 아빠이기도 하다.

Comments 1

  1. 재국 형님, 지난 번 부산에서 만난 이후로 시간이 꽤 흘렀네요. 잘 지내고 계시죠? ㅎㅎ
    역사 신학적 관점에서 본 개혁 신학의 다양성과 공교회성에 대한 통찰력 있는 글이네요. 말씀의 권위 위에 공교회성, 그 울타리 안에 다양성이라는 그림이 잘 그려지네요. 형님 글을 읽다 보니, 삼위 하나님의 단일성(Unity) 다양성(Diversity)가 떠오르네요. 마치, 삼위 하나님께서 자신의 아름다운 단일성과 다양성을 역사를 통해 다양성과 공교회성으로 펼쳐 놓으신 것 같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