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요약 성도의 견인은 성도가 스스로 끝까지 무언가 견뎌낸다는 뉘앙스를 풍긴다. 물론 우리는 끝까지 우리의 믿음을 지키기 위해 싸우고 인내하고 견딘다. 하지만 이렇게 마지막 날까지 인내할 수 있는 것은 우리가 스스로 견인하기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으로부터 견인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견인Perseverance라는 단어보다는 보호하심Preservation이라는 단어를 쓰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견인은 하나님에 의해 완성되기 때문이다. 성도의 견인은 아버지로 부터 택함 받고, 그리스도로 속죄함을 받았으며, 성령으로 거듭남을 받은 이가 영원히 구원받으며, 단 한 명도 중도에 떨어져 나가는 일이 없다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시작하신 일을 그가 완성하신다. 빌립보서1:6은 “너희 안에 착한 일을 시작하신 이가 그리스도 예수의 날까지 이루실 줄을 우리는 확신하노라” 고 기록하고 있다. 결국, 만약 구원받았다면 결코 잃지 않을 …
개혁주의 신학이란? 제 10강 제한적 속죄
Summary 요약 제한적 속죄는 칼빈의 오대강령 중 가장 논쟁이 치열한 부분이기도 하다. 제한적 속죄는 그리스도의 속죄가 미치는 효과나 가치에 한계가 있다는 의미가 아니다. 그리스도의 속죄는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충분하다. 그리고 그리스도를 받아들이고 믿는 모든 이들에게 속죄의 모든 효과가 완전하고 풍성하게 부여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모든 이들에게 충분하지만, 일부에게만 유효하다. 즉, 믿는 이들에게만 구원은 주어진다는 뜻이다. 이 부분이 바로 보편구원론과 차이를 가지는 부분이다. 제한적 속죄 교리는 사실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를 이 땅 가운데 보내시고 십자가에 못박혀 죽게 하신 것의 원래 목적, 계획, 디자인에 대한 문제다. 그러니까, 하나님께서는 구원을 세상 모든 사람들에게 구원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는 방식으로 계획하셨는가? OR 영원으로부터 당신의 백성들을 구원 계획 속에서 …
개혁주의 신학이란? 제 9강 무조건적 선택
Summary 요약 무조건적 선택은 하나님께서 사람들이 예수님을 믿든지 믿지 않든지 무조건적으로 선택하셔서 구원하신다는 의미가 아니다. 하나님께서 어떤 사람들을 선택하실 때 그분은 어떻게 선택하시는가? 어떤 이유로 선택하시는가? 조건 선택은 하나님께서 미래를 미리 아심을 통해서 선택하신다고 가르친다. 그는 누가 믿음을 가질 지 아시고 그들을 구원으로 선택하신다는 것이다. 반대로 무조건적 선택은 하나님께서는 오직 당신의 절대주권적 결정으로 당신이 원하시는 이를 선택하셔서 구원하신다고 가르친다. 로마서 9:10~13 그뿐 아니라 또한 리브가가 우리 조상 이삭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임신하였는데 그 자식들이 아직 나지도 아니하고 무슨 선이나 악을 행하지 아니한 때에 택하심을 따라 되는 하나님의 뜻이 행위로 말미암지 않고 오직 부르시는 이로 말미암아 서게 하려 …
개혁주의 신학이란? 제8강 전적 타락(2/2)
Summary 요약 전적 타락 교리를 다룰 때 피해갈 수 없는 것이 자유의지에 대한 내용이다. 자유의지 논쟁은 두 가지 관계에 대한 논쟁이다. 첫 번째는 하나님의 절대주권과 우리의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는 능력 간의 관계에 대한 것이다. 두 번째는 타락과 인간의 자유의 능력 간의 관계에 대한 내용이다. 17세기 영국 개혁주의 신앙을 대변해주는 웨스터민스터 신앙고백은 인간은 완전히 자유를 잃었다고 천명한다. 인간은 영적 선을 원할 수 있는 능력을 완전히 잃었다. 이를 도덕적 무능력(Moral Inability)라고 부른다. 펠라기우스는 은혜가 없이도 인간은 완전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한편 세미-펠라기우스주의는 은혜는 필수적이라고 말한다. 은혜 없이 우리는 구원받을 수 없다. 하지만 은혜만으로는 부족하며, 은혜 외에 타락 …
개혁주의 신학이란? 제7강 전적 타락(1/2)
Summary 요약 17세기 네덜란드에서는 알미니우스와 개혁교회의 후대들 간에 논쟁이 발생했다. 도르트 신경에 논쟁이 집중되었는데, 이 신경을 통해 알미니안 교리는 정죄받았고 개혁주의 교리는 재확인되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칼빈주의의 5대 강령이 주장되었다. 이들은 외우기 쉽게 TULIP이라는 머릿말로 불리운다. Total Depravity 전적 타락 Unconditional Election 무조건적 선택 Limited Atonement 제한적 속죄 Irresistible Grace 저항할 수 없는 은혜 Perseverance of the Saints 성도의 견인 여기서 첫 시작점인 전적 타락을 받아들이는 것은 이어지는 네 가지를 받아들이는 데 필수적이다. 이 교리는 어거스틴과 펠라기우스와의 논쟁에서 중점이 되었다. 펠라기우스는 어거스틴이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을 명하시고, 명하신 것을 주신다.Command what Thou wouldst, and grant what Thou dost command’라고 주장하는 …
개혁주의 신학이란? 제 6강 – 언약
R.C.Sproul의 ‘개혁주의 신학이란?’ 강의를 요약하고 조금 더 깊이 생각해보고자 하는 포스팅입니다. 제6강에서는 개혁주의 신학의 핵심적인 개념인 동시에 개혁주의 신학의 개성이기도 한 ‘언약’ 개념을 알아봅니다.
개혁주의 신학이란? 제5강 – 오직 믿음(2/2)
R.C.Sproul의 ‘개혁주의 신학이란?’ 강의를 요약하고 조금 더 깊이 생각해보고자 하는 포스팅입니다. 제5강에서는 4강에 이어 Sola Fide를 설명하면서 ‘전가’ 개념을 소개합니다.
개혁주의 신학이란? 제4강 – 오직 믿음(1/2)
R.C.Sproul의 ‘개혁주의 신학이란?’ 강의를 요약하고 조금 더 깊이 생각해보고자 하는 포스팅입니다. 제4강에서는 종교개혁의 시발점이 되었던 선언, 믿음으로만 얻는 믿음에 대해 알아봅니다. 개혁주의 신학의 특징인 칭의를 법정적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 Page 1 of 2
- 1
- 2